안압 높을때 증상 원인 낮추는법 안압 수치 좋은음식

안압 높을때 증상 원인 낮추는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눈 내부에는 방수라는 액체가 있어 끊임없이 눈이 안과 밖을 움직이며 눈 조직에 영양을 공급하고 일정한 압력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방수의 생성과 배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안압이 올라가며 안구조직에 문제를 일으킵니다.

이는 녹내장의 주요 유발 위험인자로 40대 이상에서 발병률이 증가하므로 40세가 넘으면 1~2년에 한 번 씩 안압을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압 수치

안압 수치

일반적으로 안압을 측정할 때는 비접촉식 안압검사 방식을 많이 이용합니다. 이는 각막에 바람을 분사하여 안압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검사자의 긴장도, 측정환경 등에 따라 검사값이 차이날 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히 안압을 측정하고 싶다면 안약을 투여하고 안형안압계를 각막에 접촉해 안압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안압은 10~21mmHg정도이며, 안압이 25~26mmHg이상인 경우에는 안압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안압 높을때 증상

안압 높을때

시야변화

안압 상승으로 시신경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시야에 변화가 생깁니다. 시야가 흐려지거나 좁아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시야변화는 주로 시야의 외곽부터 시작되어 점차 중심부로 진행되어 중기 이후에 증상을 인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편감

안압이 상승하면 안구통증이나 피로감, 안구건조증 등 불현한 증상이 발생합니다.

두통

안압이 상승하면 눈의 압력이 높아지고 뇌 혈압에도 영향이 가서 두통을 겪을 수 있는데요, 특히 눈 주변이 민감한 두통을 호소합니다.

메스꺼움

안압이 급격하게 올라가면 신경체계가 반응해 뇌의 혈액공급이 감소합니다. 이로 인해 메스꺼움, 구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충혈

안구주변 혈관이 확장되면 혈액공급이 급격하게 증가해 충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안압 낮추는법

전자기기 사용 조절

안압 낮추는법

현대인들은 하루종일 전자기기와 마주한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는 눈의 깜박임을 억제해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업무나 학업 중간중간 10분 정도씩 눈을 감고 쉬어주는 시간이 필요하며 눈이 건조하거나 뻑뻑하다면 안약이나 인공눈물 등을 자주 점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휴식

스트레스와 피로는 안압을 상승시키는 원인입니다. 특히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안구가 경직되고 눈이 건조해 집니다.

따라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적정 수면시간을 지킨다면 빠르게 회복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운동

안압 두통

꾸준한 운동은 혈액순환을 원할하게 하여 혈압을 떨어뜨리는 동시에 안압도 낮춰줍니다. 이때 무리한 운동은 오히려 안압을 높이므로 중저강도의 운동을 꾸준히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

평소 무심코 취하는 자세가 안압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데 특히 옆으로 누워서 자는 자세,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머리를 감기 위해 고개를 숙이는 자세 등입니다.

평소 가급적이면 정자세로 자는 것이 좋으며 머리에 압력이 쏠리는 자세는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식단

눈에 좋은 음식

카페인이나 술, 자극적인 음식 등은 체내 수분을 빼앗아가 안구건조증을 유발하고 안압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눈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견과류나 등푸른 생선, 녹색채소, 블루베리와 같은 음식을 먹으면 안압을 낮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흡연은 안질환을 악화시키는 가장 나쁜 행동으로 꼽히는 만큼 금연을 꼭 실천해야 합니다.

기저질환

녹내장, 당뇨, 고혈압은 안압을 높이는 원인이 되므로 평소 이와 같은 질환을 앓고 있다면 주기적으로 안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또한 가족력이 있는 있는 경우에도 평소 안구건강에 관심을 가지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며

우리는 주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있지만 안과검진을 따로 받는 분들을 많지 않으실텐데요, 평소 안압을 높이는 행동을 많이 하시거나 40대 이상 이시라면 정기적으로 안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