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주말이면 꽃놀이 많이들 가실텐데요, 그러면 꼭 만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벌인데요, 벌은 특히 8~9월 산란기에 개체수가 많이 늘어나고 활동이 왕성해지면서 벌쏘임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고 해요.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요즘 벌쏘임 사고가 급증하므로 벌에 쏘였을때 응급처치, 벌쏘임 예방법, 상비약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벌에 쏘였을때 증상

국소적 반응
대부분의 사람은 벌에 쏘였을때 국소적으로 쏘인 부위가 부어오르거나 욱신거리는 통증이 발생하고 가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은 아니므로 적절한 대처와 휴식으로 완화될 수 있습니다.
독성 반응
여러차례 벌에 쏘이면 침독에 의해 전신 독성 반응이 나타나면서 오심, 구토, 설사, 어지러움 심하면 실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급작스럽게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진료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신 알레르기 반응
벌독 알레르기가 있거나 면역체계가 약한 분들은 가려움, 두드러기, 메스꺼움, 갑작스러운 혈압상승과 맥박이상 등 전신반응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 경우 호흡곤란과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어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즉시 119에 신고하거나 신속히 병원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벌에 쏘였을때 응급처치

안전한 장소로 이동
주변에 벌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니다.
벌침 찾기
통증과 발적이 있는 부위에 검은 점처럼 보이는 벌침을 찾아주세요. 다만 말벌은 침이 박히지 않기 때문에 침을 찾으려고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합니다.
벌침 제거
신용카드처럼 얇고 단단한 것을 이용하여 피부를 긁어내듯 침을 제거합니다. 이때 벌침이 들어온 반대방향에서 카드를 눕혀 긁어내는 것이 안전합니다.
벌침을 제거하면 차가운 물, 흐르는 물로 쏘인 부위를 소독합니다. 이때 힘을 주거나 문지르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통증(붓기) 완화
상처부위에 얼음찜질을 약 10분정도 해주면 통증과 붓기를 완화시켜 줍니다.
휴식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하며 호전되는지 보고 어지러움, 메스꺼움,알레르기 반응 등의 증상이 발생하면 빠르게 병원에 내원합니다. 다만 어린이, 노약자, 임산부,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즉시 병원을 내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말벌의 독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강하다고 하니 벌쏘임 사고가 발생하면 병원에 즉시 내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벌쏘임 예방법

밝은색 옷과 모자 착용
벌은 검은색 -> 붉은색 -> 초록색 -> 노란색 -> 흰색 순으로 공격성을 보이므로 야외활동 시 밝은색의 옷과 모자를 착용하고 피부노출을 최소화하는 옷차림을 추천드립니다.
향이 강한 물질 자제
벌은 향에 민감하므로 향이 강한 화장품, 섬유유연제, 향수등을 자제합니다. 또한 단 음식이나 청량음료 등을 소지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과도한 움직임 자제
벌집을 건드렸다면 최대한 신속하게 대피해야 하는데 동작이 클수록 공격받기 쉬우므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니다.
벌쏘임 상비약

항히스타민 연고는 가려움이나 붓기에 좋고 스테로이드 연고는 염증이나 알레르기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벌레(모기)물림에도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상비약으로 구비해 두시면 여러모로 도움이 됩니다.
항히스타민 연고 – 버물리, 써버쿨 등
스테로이드 연고 – 하이로손 크림, 더마큐 연고, 쎄레스톤지 크림 등
만약 벌에 알레르기가 있으시다면 항히스타민제(지르텍, 세티스, 알레스탑S 등)와 에피네프린 자동주사약을 처방받아 상비약으로 휴대하시기 바랍니다.